경제

경제적 글로벌화를 위한 정책

개더워멍멍 2024. 8. 7. 00:49
반응형

도시개발은 무엇보다도 도시의 특성과 개발 목표를 분석하여 추진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송도국제도시가 글로벌 도시로 발전하는 데 필요한 특성과
요소들을 도출하여 최상 환경을 보장하고 첨단산업·금융·서비스 등으로
‘동북아 중심의 허브 도시’로 성장하는 역할을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송도에는 GCF(녹색기후기금)와 WB(세계은행 한국사무소) 등 13개의
국제기구가 입주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기구는 서로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활동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와
인천광역시에서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한다면 송도 국제도시가 글로벌 도시로 급성장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지리적 여건은 동북아 물류 중심지로 적합한 곳이다. 그 이유는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을 통해 
전 세계 및 동북아 지역 내의 주요 공항과 항만에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통계분석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송도국제도시의 발전은 물류의 인프라가 글로벌도시로 성장하는데
필수요소임을 알 수 있다. 가장 핵심적인 인프라가 고급 인력의 양성과 유입이다. 이러한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인력을 꾸준히 배출할 수 있는 집중적인 교육 투자가 필요하다. 
인력과 연구기관과 첨단산업이 서로 산·학·연을 구성하여 활동이 강화될 때 지식기반 도시의 토대와 
글로벌도시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기업 부문의 협력 활동이 서로 연계되었을 때 그 효과가
크다고 볼 수 있겠다. 한국의 산업구조는 1960년대 이후부터 1차 산업은 현저하게 감소했지만 2차 산업과 3차
산업은 현저하게 성장했다. 특히 3차 산업은 지식기반산업 발달함에 따라 전문화 지속해서 발달하고 있다. 
만일 한국이 동북아 물류센터로 발전한다면 직․간접적으로 창출되는 부가가치는 높아질 것이다.
현재 한국은 3차 산업인 서비스산업의 비중이 70~76%에 이르는 선진국 형태고 변화하고 있다.
서비스는 고객과 서비스 종사자 사이에 일어나는 무형의 활동 또는 혜택으로 쌍방 간에 가치의 교류를 수반한다
수산업의 비중이 커진다는 것은 경영전략에서 상품 대 인간의 관계보다 인간 대 인간의 관계가 더 중요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인천 경제자유구역청의 2014년도 계획에 의하면 송도국제도시의 도시기반시설에 드는 재원
(2020년까지 21조 5,442억원)이 국가의 국가재정으로 마련되어야 하는데 자금까지 국고 확보율을 보면 
2005년 18.3% 17.3% 24.5% 수준이다. 따라서 인천 경제자유구역의 송도국제도시를 활성화하려면 
국가적 차원의 과감한 국고지원이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지원을 통하여 글로벌도시로서
매력 있는 기반 도시시설을 조속히 갖추어졌을 때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을 통한 인구의 흡입력과 교통의 
접근성이 좋아져 국제업무지구 등에 해외기업 유치가 가속화될 것이다. 송도국제도시의 강점은 지리적
입지의 우수성과 국제적인 인천공항과 인천항 등 물류산업에 성공할 잠재력이 충분하고․BT 등 첨단산업과 
국제기구의 클러스터화가 가능한 국제비즈니스 환경이다. 그리고 서울과 가까워서
우수인력을 끌어올 수 있는 접근성과 교통의 편리성 등이 뛰어나다. 하지만
정주 환경에서 주거환경과 쾌적한 공원시설 등은 어느 정도 갖춰 나가고 있지
만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대형 쇼핑몰과 문화 환경 등이 미흡하다. 따라서
글로벌도시로서 유통시설 등 외국인이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는 
편의 시설 등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경제적 여건으로 중앙정부의 기반 시설 등에 대한 
재정지원과 외국기업의 인센티브 및 법적 제도적 개선 및 수도권 규제 완화 등을 통한 개선 등이 
이루어졌을 때 진정한 글로벌 도시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한편 무엇보다도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기업의 생산 활동이 국가 간의 장벽을 넘어 광역화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글로벌화의 특징이 기업의 해외 신흥시장을 통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고급 인력은
기업의 자본을 대형화한다. 글로벌 도시는 자본과 경영 그리고 인력과 문화를
하나로 묶어 세계시장에서 생산과 기술 서로 상호 결합하여 급성장의 원동력이 된다.
송도국제도시는 세계적으로 성공한 두바이 등과 같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한국경제의 생존 전략으로 추진한 경제자유구역이다. 중국과 가까운 지리적 이점 공항과 인천 신항을 가진 물동량의 수월성 모일 수 있는 수도권이라는 점 등으로 최소한의 경쟁력을 갖추려면 그 이상의 뛰어난 글로벌 전략이 요구된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경제 가치  (0) 2024.08.09
공유경제 비즈니스모델  (0) 2024.08.09
글로벌 도시 특성  (0) 2024.08.06
경제자유구역의 개념  (0) 2024.08.05
유아 경제 교육의 개념 및 중요성  (0) 2024.08.04